본문 바로가기

후님 일상

파이어 족 메뉴얼 ② - 내 경제적 자유의 댓가는 얼마?

    다들 한번쯤 '돈 걱정하지 않고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부자가 되는 것은 바라지도 않으니 빚만 없어도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때문에 우리는 재테크 공부를 하기도 하고 비지니스에 시간을 쓰기도 하며, 이도저도 아니면 일확천금을 노리고 매주 로또를 구매하기도 한다. 그렇게 돈을 더 벌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지만,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 하나 있다.

 

© f7photo, 출처 Unsplash

 

과연 얼마를 벌면 우리는 행복할까?
행복의 기준은 과연 얼마일까?
부자는 얼마정도가 있어야 부자일까?
그 기준은 누가 정하는 걸까?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돈과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사람들은 돈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이야기한다. 내가 생각해도 틀린말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삶은 과연 행복한 삶일까? 그렇다면 얼마를 번다면 행복할까? 한국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사람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것이다. 미국의 과학학술원지(PNAS)에서 조사한 결과는 연봉 7만50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9000만원 이라고 한다. 한국이든 미국이든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은 아마도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금액은 저 언저리 어딘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8800만원 소득수준에서는 소득과 삶의 만족도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한부동산학회지 2015년 제41호 - 

   

    하지만 어디까지나 위의 통계는 1인 가정일 때의 이야기이다. 결혼을 해서 2인 가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1억 2445만원', 아이가 태어나서 4인 가정을 이루면 '1억 7600만원'이라고 한다. 숨이 턱 막혀온다. 아무리 계산을 해도 직장에서 연봉을 올리는 방법은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출처 : YTN 뉴스

    경제적자유를 얻는 다는 것은 쉽지 않다. 높은 연봉을 받으면 해결 될 것 같지만 완벽한 해결 방안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직장은 나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난 포스트에서 이야기 했던 '직업의 사분면'의 중에서 E사분면(직장인, 월급쟁이)의 일은 바로 노동소득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많은 노동소득을 올리더라도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는 없다. 실제로 높은 연봉으로 부러움을 사는 기업의 고위 임원들도 요즘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퇴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임원 38명 전부 ‘사표’… 아시아나항공, 비상경영 선포 ‘생즉사 사즉생’ 각오로 임원 일괄 사표 제출임원 급여 30% 반납·전 직원 무급휴직 항공업계가 우한 폐렴(코로나19) 여파 등의 악재가 겹쳐 .. biz.chosun.com

 

그렇다면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아이러니하겠지만 가장 먼저 '부자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은 잠깐 내려놓는 것'은 어떨까 싶다. 부자가 되면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는 것은 맞다. 하지만 경제적 자유를 얻은 사람이 꼭 부자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부자가 되고 싶다는 마음은 굉장히 추상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기도 어렵다. 로버트 기요사키도 그렇고 나 역시도 특별한 사람이 부자되는 방법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내 주변의 평범하고, 조심성 많고, 안정을 추구하는 보통 사람, 일반인, 내 친구들이 경제적인 자유에 한걸음 더 다가가기를 원하는 것이다. (특별한 사람은 우리가 알려주지 않더라도 본인의 능력으로 부를 일구어 낸다.)

부자가 되면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는 것은 맞지만, 
경제적 자유를 얻은 사람이 꼭 부자는 아니다.

  - 내인생의플랜B -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얼마를 모으면 되는지를 계산해야 한다. 파이어 족이 되기 위해서는 무조건 거처가야 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내가 은퇴를 하려면 얼마가 필요한지 계산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우리가 1년동안 지출하는 금액의 25배를 모으게 되면 경제적으로 은퇴를 할 수가 있다.

    간단하게 계산해보자. 당신이 1인 가정이고 1년 동안의 지출이 2000만원이라면 여러분은 5억이라는 금액을 모으면 경제적으로 탈출을 할 수 있다. 5억이라는 돈은 부자라고 하기에는 적은 금액이지만 당신이 경제적으로 자유를 얻기에는 모자람이 없는 돈이다. 파이어 족의 방법은 이렇게 5억을 만들어서 ETF와 같은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고 수익률 중 4%만 인출해서 사용하면, 원금을 손대지 않고도 생활이 가능하다고 이야기 한다. 왜 4%를 인출하느냐면, 바로 5억의 4%가 딱 여러분이 1년동안 사용하는 2000만원이다.

    나의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우리 가족은 2인 가구이며, 1년에 약 5000만원을 지출한다. 현재의 지출을 유지한채로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25배인, 12억 5000만원을 모아야 한다. 진짜로 하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여러분이 아직 '가정을 이루지 않았고 연간지출이 적다면 경제적 자유를 얻기가 쉽다'는 것이다. 단순히 많이 번다고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 하고 싶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캐쉬플로우 게임'을 통해서 증명할 수 있다.)

    그런데 잠깐!! ETF에 투자해서 매년 4%씩 출금을 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고? 갑자기 폭락한다면?

파이낸 셜프리덤의 감수자 지철원 연구위원은 이렇게 이야기 한다.

1980년 이후 현재까지 한국 증시의 연평균 수익률이 8%에 이른다는 사실을 본다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목표치이다. 오히려 좀 더 일직 은퇴하고 싶은 의지를 가지고 있는 독자라면 더 높은 투자 수익률을 올릴 수 있도록 갖은 노력을 다해야 할것이다.

  - 파이낸셜 프리덤. p54 -

 


 

    위의 사례는 아주 일반적인 파이어 족의 방법이다. 한국에는 파이어 족으로 경제적 자유를 얻은 사람의 자료가 많지 않지만,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경제적 자유로 가는 길(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는 점이다. ETF 투자는 여러 방법 중 한 가지일 뿐이다. 사실 나는 ETF에 투자한다는 것이 내키지 않는다. 수익률을 얻지 못할까봐가 아니라 ETF를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ETF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탈출 할 수 있을까?

 

    굉장한 인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경제적 자유라는 것은 한걸음 한걸음씩 배워나가야지만 도달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야 할 것은 바로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내가 얼마를 모아야 하는지'에 관한 정확한 숫자이다. 정확한 숫자가 나와야지만 목표를 정하고 실행을 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어떻게 목표금액을 낮출 수 있는지, 그리고 목표 금액을 모으기 위해 속도를 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한다. 인내심을 가지고 따라온다면 여러분도 파이어 족이 될 수 있다.